맨위로가기

김동환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환은 워크래프트 3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활동했다. 워크래프트 3에서는 Warcraft III Nations Cup Season 2 등에서 우승했으며,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Sao Paulo와 MLG 2012 Spring Season Arena 2에서 우승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MVP, Team Empire, Azubu, Team Envyus 등에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팀 아주부의 선수 - 조지현
    조지현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1회, 준우승 1회를 기록했고, DreamHack Open, IEM, GSL 등 여러 국내외 대회에 참가했다.
  • 팀 아주부의 선수 - 강동현
    강동현은 2008년 화승 OZ에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 스타크래프트 II 전향 후 GSTL 역올킬로 '네팔렘'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개인리그 준우승 4회를 기록한 대한민국의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 MVP (e스포츠)의 선수 - 김기용 (프로게이머)
    김기용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며, 2016 핫식스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등에서 활동했다.
  • MVP (e스포츠)의 선수 - 김동원 (프로게이머)
    김동원은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로, 주로 스타크래프트 II 리그에서 활동하며 GSL, WCS 등 주요 대회에서 4강, 8강 등의 성적을 거두었고, 2017년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코리아 스프링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 저그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저그 선수 - 어윤수
    어윤수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및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SK텔레콤 T1에서 데뷔 후 GSL에서 활약하며 '콩라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롯데홈쇼핑 KeSPA컵 시즌2에서 우승했고, GSL 10회 연속 진출 기념 '임재덕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김동환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동환
국적대한민국
출생1990년 12월 5일 (세)
출생지제주도 제주
종족워크래프트: 오크
스타크래프트 II: 저그
아이디워크래프트: viOLet.
스타크래프트 II: viOLet
소속팀Team Envyus

2. 워크래프트 3 경력

워크래프트 3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웨라, SK-Gaming, Serious Gaming 등 여러 팀에서 활약했다. 또한 다수의 국내외 대회에서 우승 및 입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2. 1. 주요 팀 경력

웨라, SK-Gaming, Serious Gaming 등에서 활동하였다.

2. 2. 주요 대회 기록


  • 워크래프트 3 Nations Cup Season 2 1위
  • XP League Season 6 1위
  • BEV Cup Season 1 1위
  • 아이러브디스크 워크래프트 3 리그 Season 2 2위
  • WC3L Season 16 3위(Serious Gaming)

3. 스타크래프트 II 경력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서 MVP, Team Empire, Azubu, Team Envyus 등 여러 팀을 거치며 활동했다.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2회, 준우승 2회[1]를 기록하는 등 주요 대회에서 활약했다.

3. 1. 주요 팀 경력

MVP와 Team Empire에서 활동하였고, 2013년에는 Azubu 소속으로 활동했다.

2013년 8월 2일 아주부와의 계약 기간이 만료되어 팀을 떠났다.

2015년 2월 13일 Team Envyus에 입단했다.

3. 2. 주요 대회 기록

스타크래프트 II 프리미어 개인리그에서 우승 2회, 준우승 2회를 기록했다.[1]

연도대회명결과
2011년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A8강
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32강
펩시 GSL July. 코드S32강
펩시 GSL Aug. 코드S32강
Sony Ericsson GSL Oct. 코드A32강
2012년MLG 2012 Winter Season Championship7위
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Sao Paulo우승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코드S16강
MLG 2012 Spring Season Arena 2우승
IPL Ye Olde Map Tournament4위
IPL5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MLG 2012 Summer Season Championship6위
NASL 시즌4준우승
Lone Star Clash 24위
MLG 2012 Fall Season Championship16강
2013년Iron Squid Chapter 216강
DreamHack Open Summer 201316강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1 프리미어리그16강 (비자 문제로 기권)
HomeStory Cup Season 78강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16강 (비자 문제로 기권)
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챌린저리그16강
Lone Star Clash 34위
2014년2014 MLG Anaheim3위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8강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Atlanta4강
Destiny I16강
2014 Red Bull Battle Grounds: Detroit4강
IEM Season IX - Toronto8강
2014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MSI Beat IT 201416강
2015년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32강
Fragbite Masters Season 48강
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32강
MSI Masters Gaming Arena 20158강
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2016년2016 DreamHack Open: Leipzig4강
Ting Open32강
2016 WCS Circuit: Winter Circuit Championship8강
2016 DreamHack Open: Austin16강
2016 WCS Circuit: Spring Circuit Championship8강
2016 WCS Circuit: Summer Circuit Championship16강
2016 WCS 글로벌 파이널16강


4. 주요 기록 (요약)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시절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2회, 준우승 2회'''[1]를 기록했다. 상세한 대회 기록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4. 1. 워크래프트 3

워크래프트 3 선수 시절에는 웨라, SK-Gaming, Serious Gaming 등에서 활동하였다.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대회명시즌/회차성적비고
Warcraft III Nations CupSeason 21위
XP LeagueSeason 61위
BEV CupSeason 11위
아이러브디스크 워크래프트3 리그Season 22위
WC3LSeason 163위Serious Gaming 소속


4. 2. 스타크래프트 II

MVP와 Team Empire에서 활동했으며, 2013년에는 Azubu 소속으로 활동했다. 2013년 8월 2일 아주부와의 계약 기간 만료로 팀을 떠났고, 2015년 2월 13일에는 Team Envyus에 입단했다.

스타크래프트 II 선수 시절 '''프리미어 개인리그 우승 2회, 준우승 2회'''[1]를 포함하여 다수의 대회에서 입상하였다. 주요 대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연도대회명성적
2011LG 시네마 3D GSL May. 코드A8강
2011LG 시네마 3D 슈퍼 토너먼트32강
2011펩시 GSL July. 코드S32강
2011펩시 GSL Aug. 코드S32강
2011Sony Ericsson GSL Oct. 코드A32강
2012MLG 2012 Winter Season Championship7위
2012IEM Season VI - Global Challenge Sao Paulo우승
2012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코드S16강
2012MLG 2012 Spring Season Arena 2우승
2012IPL Ye Olde Map Tournament4위
2012IPL5 스타크래프트 부문준우승
2012MLG 2012 Summer Season Championship6위
2012NASL 시즌4준우승
2012Lone Star Clash 24위
2012MLG 2012 Fall Season Championship16강
2013Iron Squid Chapter 216강
2013DreamHack Open Summer 201316강
20132013 WCS 아메리카 시즌 1 프리미어리그16강 (비자 문제로 기권)
2013HomeStory Cup Season 78강
2013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16강 (비자 문제로 기권)
20132013 WCS 아메리카 시즌 2 챌린저리그16강
2014Lone Star Clash 34위
20142014 MLG Anaheim3위
20142014 WCS 아메리카 시즌 2 프리미어리그8강
20142014 Red Bull Battle Grounds: Atlanta4강
2014Destiny I16강
20142014 Red Bull Battle Grounds: Detroit4강
2014IEM Season IX - Toronto8강
20142014 WCS 아메리카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2014MSI Beat IT 201416강
20152015 WCS 시즌 1 프리미어리그32강
2015Fragbite Masters Season 48강
20152015 WCS 시즌 2 프리미어리그32강
2015MSI Masters Gaming Arena 20158강
20152015 WCS 시즌 3 프리미어리그16강
20162016 DreamHack Open: Leipzig4강
2016Ting Open32강
20162016 WCS Circuit: Winter Circuit Championship8강
20162016 DreamHack Open: Austin16강
20162016 WCS Circuit: Spring Circuit Championship8강
20162016 WCS Circuit: Summer Circuit Championship16강
20162016 WCS 글로벌 파이널16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